필라테스
필라테스 강습내용 안내
단계별 강습내용
- 1차 필라테스란 무엇이며, 어떻게 행할것인가를 알아본다.
- 2차 횡경막 호흡을 통한 흉식 호흡과 복횡근 운동 인지
- 3차 스포츠 영양학의 기초와 음식의 칼로리에 대해서 알아보기
- 4차 기본동작의 명칭과 초급단계의 basic 과정 동작 익히기
- 5차 동작의 응용과 단계별 운동강도 조절
- 6차 초급 3개월동안 매달 동작의 점검으로 신체적 변화 인지.
- 7차 피드백
- 8차 증진 및 관리 유지
집중(concentration) | 동작에 집중하여 신체와 정신을 연결시키는 것은 인체의 감각계(sensory system)를 조율하는 것입니다. 즉, 신체에 집중하여 신체의 모든 감각을 인지함으로서 동작을 의식적으로 조절합니다. |
---|---|
인식(awareness) | 신체의 모든 감감을 인식하여 의식적으로 동작을 조절함으로서 무의식적인 반사적 동작(unthinking reflex action)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. (생각없이 동작하지 말자!!) |
정렬(alignment) | 호흡근의 대부분이 자세유지근입니다. 따라서 올바른 호흡은 올바른 자세에서 이루어지므로 올바른 자세 정렬은 중요합니다. |
호흡(breathing) | 흉식 호흡을 더욱더 깊게하는 필라테스 호흡법을 이용하여 파워하우스를 강화시킵니다. |
중심화(centering) | 하부늑골에서 골반기저까지의 부위인 신체운동중심(powerhouse, center, core)은 모든 신체 동작의 원점입니다. 필라테스는 정렬된 자세에서 특정한 호흡과 동작을 이용하여 신체운동중심을 안정화시키는 신체운동중심안정화운동입니다. |
정확성(precision) | 신경과 근육을 좀더 밀접하고(closer) 특정하게(specific) 연결시킴으로써 정확성은 증가됩니다. |
협응성(coordination) | 조세프-‘신체와 정신의 완벽한 균형이란 신체와 정신의 완벽한 협응’ 옥스퍼드사전-‘협응이란 다수의 근육들이 연합하여 복잡한 목적 동작을 만드는 것’ 따라서, 협응성을 통하여 동작의 유동성을 만들 수 있으며, 한 동작에서 다음 동작으로 부드럽게 전환시킬 수 있습니다. |
신연(lengthening) | 진정으로 강한 근육은 구심수축성(concentric contraction)만이 아니라 원심수축성 (eccentric contraction)과 신장성(flexibility)을 갖추어야 합니다. 신연이란 원심수축성과 신장성을 아우른 말입니다. 근육이 끝까지 신장 및 연장되기 위해서는 신체운동중심으로부터의 적절한 지지가 있어야 하며, 좀더 세련된 정확성 및 협응성을 필요로 합니다. |
지속(persistence) | 모든 운동의 근본 원리는 지속적으로 하는 것입니다. 운동의 효과는 장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.“10번의 운동 후 당신은 변화를 느낄 것이고, 20번의 운동 후 당신은 변화를 눈으로 볼 것이며, 30번의 운동 후 당신은 변화된 몸을 갖게 될 것이다.” “사람들이 이 운동을 알면 행복해 진다.” -조셉 필라테스- |